ESSAY
-
변화.ESSAY 2022. 4. 14. 14:09
If you're serious about changing your life, you'll find a way. If you're not, you'll find an excuse. 만약 당신이 삶을 바꾸는 것에 대해 진지하다면, 당신은 방법을 찾을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당신을 변명을 찾을 것이다. 출발은 언제나 내 선택에서 비롯된다. 자의든 타의든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고, 그 연속선상에서 서 있는 것은 언제나 나 자신이다. 선택을 잘했다고 항상 좋은 결과가 있는 것도 아니고, 잘 못 선택했다고 항상 나쁜 결과가 있는 것도 아니다. 좋은 선택은 결과가 나빠도 얻는 게 있어서 후일을 도모할 수 있지만, 나쁜 선택은 결과가 좋아도 결국에는 독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인생을 대할 때 진실하고 진지해야 ..
-
기생충.ESSAY 2022. 4. 11. 08:43
영화 기생충을 보았을 때 참 많은 생각이 머릿속에서 맴돌았다. 어느 곳에나 기생충 같은 존재들은 있기 마련이다. 기생충. 아무 노력 없이 남의 몸에 기생하며 살아가는 것. 혹시라도 내가 그런 사람은 아닌가. 늘 자신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요행을 정말 싫어한다. 열심히 땀 흘려 노력하지 않고, 여기저기 눈치나 슬슬 보면서 내가 어디에 붙어있어야 오래 연명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며 살아가는 기생적 더듬이만 발달한 부류의 사람들을 정말 극혐 했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직장을 많이 옮겨 다니지는 않았지만, 나 스스로 퇴사를 결정할 때는 도저히 그런 기생적 부류의 사람들을 견디지 못하고 나오는 경우였다. '실력은 없고, 정치만 하는 사람.' 나는 기생적인 사람의 특징을 그렇게 정의하고 싶다. 나이가..
-
작은 씨앗.ESSAY 2022. 3. 16. 16:06
From a small seed a mighty trunk may grow. 작은 씨앗에서 거대한 줄기가 자랄 수 있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 이 말을 마치 큰 교훈 인양 듣고 자랐다. 그래서 웬만하면 남의 일에 간섭을 하거나 나서는 일이 없었다. 그리고 실제로 그런 것 같았다. 아니 대부분이 그렇게 사는 것 같아 보였다. 누군가 앞에서 깃발이라도 흔들면 환호하지만 정작 본인은 뒤로 물러서서 지켜보길 원하는 것 같았다. 그 군중들의 발이 머문 곳에 나도 함께 있었던 적이 더 많았던 같다. 언제부터 였던가.. 나는 사회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함께 사는 공동체에 대한 연대 의무 같은 것.. 사람은 저마다 다르다. 생각하는 것도 생김새도 가치관도 취미도 어느 것 하나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은 ..
-
최선의 방법.ESSAY 2022. 3. 10. 20:20
The best Thing one can do when it's raining is to let it rain. 비가 올 때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비가 오도록 놔두는 것이다. 나는 평소에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내 전업과 상관없는 것들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한다. 공부를 하다 보면 전혀 상관없어 보이지만 서로 연결고리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기라도 하면 짜릿한 희열도 느낀다. 그러한 경험들 중에 나와 아주 멀게만 느껴진 것을 하게 되었는데 '투자'였다. 처음에는 겁 없이 덤벼들었고,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며 이래서는 안 되겠다 싶어 '투자 공부'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절박함으로 시작했는데 조금씩 기초를 쌓아가며 내가 얼마나 무지하게 무모한 모험을 했는지 깨닫게 되었다. 그래..
-
약간의 거리를 두다.ESSAY 2022. 3. 5. 23:00
If we will be quiet and ready enough, we shall find compensation in every disappointment. 침착하게 충분한 준비를 한다면, 어떠한 실망 속에서도 보상을 찾게 될 것이다. 어떤 목사님이 운전을 하다가 갑자기 끼어드는 차들이 있거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자기도 모르게 욕이 튀어나왔다고 한다. 그런데 명색이 목사인데 욕지거리를 하는 스스로의 행동에 자책감이 들어서 어떤 방법이 없을까를 고심하다가 자기가 자주 하는 욕에 번호를 붙여서 화가 나는 일이 생기면, 숫자를 외쳤다고 한다. '저런 1번, 아.. 저저저 2번..'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렇게 해서 운전할 때 욕하는 습관을 고쳤다고 한다. 이처럼 누구나 위급한 상황이나 몹시 불쾌한 일을..
-
부엌.ESSAY 2022. 3. 1. 13:24
Everything happens in the kitchen. Life happens in the kitchen. 모든 일은 부엌에서 일어난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이게 다 먹고살려고 하는 짓이다.'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 그런데 나는 이 표현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뭔가 원초적이고 동물 같아서다. 인생이 밑바닥에 머물러 있을 때 어떤 목적만 남는지 보여주는 너무 적나라한 표현 같아서 싫은지도 모르겠다. 부엌이라는 공간은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원초적인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매일매일 시작과 끝이 공존하는 곳이다. 허기짐과 포만감. 깨끗함과 더러움. 즐거움과 귀찮음. 고독과 설렘. 늘 치열하게 뭔가를 하지만 안정감이 머물러 있는 그 뒷모습을 보고 있으면 이 것이 행복인가..싶은 곳. 그곳에서는..
-
의지력.ESSAY 2022. 2. 28. 09:36
하루만 지나면 벌써 3월이다. 이제 곧 1분기의 마지막 달이 시작된다. 새해가 밝은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두 달의 시간이 흘렀다. 새해가 되면 의례 하는 행사처럼 마음 가짐을 새롭게 하고 몇 가지 계획을 세웠다. 첫째는 건강관리였고, 이를 위한 세부적 계획은 매일 19층을 걸어서 올라가기, 팔 굽혀 펴기 20개, 수면 시간을 7시간 확보하기, 밀가루 음식 줄이기 등이었다. 둘째는 한 달에 4권의 책을 읽고 필독(요점정리 및 서평)을 하는 것이었고, 세부사항은 주말마다 도서관 가기, 아침에 2시간 독서하기, 잠들기 전 글쓰기였다. 셋째는 차트분석 유튜브를 시작하는 것이었고, 방송을 위한 기본 지식 쌓기, 유튜브 채널 공부하기, 차트분석 자료 만들기 등이었다. 이외에도 영어공부, 드로잉 연습, 철학, 미학,..
-
한계점.ESSAY 2022. 2. 27. 17:49
I'm always trying to push myself to the limit to see what I can do. It's my strong will that I've always had since I was a kid. 항상 나 자신이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 보기 위해 한계 상황까지 밀어붙입니다. 그것은 어렸을 때부터 가지고 있었던 내 강한 의지입니다. 어디까지 노력을 해야 임계점을 넘겼다고 할 수 있을까? 개인이 노력의 한계에 대한 기준을 잡기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주관적인 판단을 하기 쉽다. 주관적인 판단의 한계는 스스로에게 관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임계점을 넘기기 위해서는 내 노력의 수준이 어느 지점에 있는지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그러면 어떻게 그 수준을 파악할 수..